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거리·전철 배회 정신질환자 강제치료”

뉴욕시 유권자 10명 중 9명이 길거리나 전철 시스템에서 배회하는 정신질환자에 대한 비자발적 입원 및 치료 확대를 지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더 나은 뉴욕을 위한 협회(ABNY)'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유권자 88%가 '본인을 돌보고 기본적인 필요를 충족할 수 없는 개인이 비자발적 치료 및 돌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주정부 자격을 확대하는 것'에 찬성한다고 응답했다. 반대한다고 답한 비율은 4%에 불과했다.   또 91%는 '중증 정신질환을 앓는 사람을 거리에 방치하는 것보다 비자발적 치료와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더 자비로운 일'이라는 것에 동의했으며, 절반 이상인 53%는 이에 '매우 동의'한다고 밝혔다.   또 유권자 10명 중 9명(91%)은 '중증 정신질환을 앓는 환자가 도움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스스로 인지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정신과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잃어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스티븐 루벤스타인 ABNY 협회장은 "뉴욕 시민들은 매일 대중교통 시스템에서 자신의 안전에 대한 위협을 직접 겪으며 우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유권자 73%는 '최근 몇 년간 뉴욕에서 치료받지 않은 중증 정신질환자 관련 공공 안전 사고가 증가했다고 느낀다'고 답했다. 또 86%는 '심각한 정신 질환을 앓고 있어 스스로를 돌볼 수 없어 보이는 사람이 길거리나 전철을 배회하는 모습을 본 적이 있다'고 했다.   실제 뉴욕시 홈리스서비스국(DHS)이 실시한 노숙자 인구 추정 조사(HOPE)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약 2000명의 노숙자가 전철 시스템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욕시 5개 보로 전역에 거주하는 노숙자 수는 총 4140여명으로 추정됐는데, 이중 절반이 전철 시스템에 거주하는 셈이다.       ABNY 조사에 응한 유권자 3분의 2는 '전철이나 버스를 타는 동안 정신질환자의 행동으로 인해 위협을 느낀 적이 있다'고 답했다.     앞서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는 올해 신년 연설에서 "정신질환자, 혹은 이미 범죄 경력이 있는 이들이 또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가 많은 만큼 정신질환자의 동의 없이도 강제 치료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하겠다"고 했으나, 인권·시민단체들의 강력한 반대와 주 상·하원의원들의 반대에 부딪혔다.     다만 칼 헤이스티(민주·83선거구) 뉴욕주하원의장은 "전철 시스템이 정신 건강 문제가 있는 사람들의 거주지가 돼서는 안된다"며 "강제 치료 방안에 대해 더 논의해보겠다"고 전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정신질환자 강제치료 중증 정신질환자 동안 정신질환자 전철 배회

2025-03-17

“뉴욕시 정신질환 문제 해결 시급”

뉴욕시 감사원이 “정신 질환을 앓고 있는 노숙자들로 인해 뉴욕시에 심각한 사회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계획을 발표했다.   지난해 말 정신 질환을 앓고 있던 노숙자가 맨해튼에서 대낮에 칼부림을 벌여 3명을 살해하고, 새해 전날 전철 밀침 사고가 발생하는 등 관련 사고가 계속되자 이에 대한 대책을 내놓은 것.   13일 브래드 랜더 시 감사원장은 먼저 “정신 질환 치료에 대한 장벽이 너무 높다”고 지적했다. 2023년 심각한 심리적 고통을 겪은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조사 결과, 이들 중 46%가 “비용 때문에 치료를 받기 힘들다”고 응답했고 43%는 “어디서 도움을 받아야 할지 모른다”고 답했다. 랜더 감사원장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시 전역에서 운영되는 연중무휴 정신건강 프로그램을 개발해 뉴욕시의 정신건강 응급 대응 체계를 재구성하고 ▶911 상담원에 정신 건강 전문가를 배치하며 ▶정신 건강 위기 대응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고 평가할 수 있는 독립적인 팀을 구성할 것을 제안했다.     또 다른 문제로는 ‘의무적인 정신 질환 치료 프로그램이 부족한 것’이 꼽혔다. 현재 뉴욕시 교도소에는 심각한 정신 질환을 앓고 있는 이들이 약 1400명 수감돼 있는데, 이들이 사회로 복귀하기 전 적절한 정신 건강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의무적인 정신 건강 프로그램이 보장돼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감사원은 ▶교도소에서 퇴소한 중증 정신질환자를 영구 지원주택에 배치하고 ▶이들을 엄격하게 추적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할 것 등의 계획을 내놨다.     이외에도 감사원은 ▶시정부 기관 간의 협력을 강화해 길거리에서 생활하는 노숙자, 특히 정신건강 위기를 겪는 노숙자 관련 프로그램을 발전시키고 ▶심각한 정신 질환을 겪고 있는 노숙자들에게 치료 프로그램과 주택 지원을 확장하며 ▶정신 건강 치료 병상을 확대할 것을 제안했다.   윤지혜 기자정신질환 문제 뉴욕시 정신질환 중증 정신질환자 정신건강 위기

2025-01-1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